Publy -제품 업데이트 하기 전 PM이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것들
정말 오랜만에 (social media 포스팅이 아닌) 글을 썼습니다. Publy에 “제품 업데이트 하기 전 PM이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것들”라는 제목으로 글을 썼습니다. 제 지인들 중 Publy 유료 회원이신 분이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지만, 혹시 access 가능하시면 보시고 피드백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Publy에 관심이 있으시면 이 기회에 회원 가입을 하시면 되고(유료입니다), Publy 회원이 아니시라면 아래 커리어리 글을 읽어도 좋아요.…
첫 출판 – 집필과 출판 관련한 FAQ 및 깨달음
2020년 10월, 내 인생의 첫 책을 출판했다. 2019년 여름부터 출판사와 얘기를 시작했으니 출판 계약서를 쓴 시점부터 따지자면 1년이 넘었지만, 실제로 본격적으로 집필을 시작한 시점부터 따지면 1년 혹은 그보다 조금 짧은 기간 안에 집필 및 출판을 마친 것이다. ‘책을 출판하는 것’은 내 인생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다. 나 뿐 아니라 본인 이름으로 된 책을 집필하고자 하는 분들이…
프로덕트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스킬들
Cracking the PM Interview라는 책을 공저한 Jackie Bavaro의 미디움 글입니다. 본인과 본인 팀원들의 경험을 통해 배운 경력 개발을 위한 중요한 스킬을 정리했습니다. 사실 논리정연한 글이라기보다는 본인이 생각한 중요한 스킬을 쭈욱 나열한 글입니다. 제가 봤을 때 이 글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직무로 전환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직무 내에서의 경력 개발은 담당 업무의 범위를…
Buffer Analyze, 고객 0명에서 1천명까지의 여정
이 글은 제가 커리어리(퍼블리 뉴스, careerly.co.kr)에 큐레이션하여 올린 리뷰 글입니다. 예전에 제목(“Two Years Ago, We Started Building a Product that Now Earns Over $500,000. Here’s How We Did it”)을 보고 저장해놓았던 글을 꺼내 읽었습니다. Buffer라는 Product(소셜 미디어 퍼블리싱 툴)에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분석’ 부분만 떨어져 나와 standalone 서비스(Buffer Analyze)로 시작하여 유료 고객 1천명까지 성장하기까지의 스토리가 재미있습니다.…
PM을 매니징하고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법
‘PM의 정의, PM이 해야 할 일’등에 대해서 늘 논쟁이 많죠? 함께 일하는 디자이너, 데이터 과학자, 개발자 등에 비해 역할과 책임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직무입니다. 정답도 없구요. 그러면 이런 PM들을 ‘매니징’한다는 것은 어떨까요? 링크된 글의 저자에 따르면 이는 ‘모호함’의 제곱(ambiguity² ; 직역은 늘 어색합니다..)입니다. 😂 이번 글은 현재 Shopify의 VP of Product인 Brandon Chu의 글입니다.…
내가 이직했을 때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이직 후 PM이 처음 해야 할 것)
개인적으로 PO/PM 직군으로 이직은 딱 두 번 해봤다. 처음은 삼성전자(상품 기획 및 해외 마케팅)에서 쿠팡으로 Product owner라는 직무로 이직했을 때, 두번째는 암스테르담에 있는 Booking.com으로 Product owner라는 같은 직무로 옮겼을 때다. 쿠팡으로의 이직의 경우 S/W Product management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상황에서의 이직이었고 생애 첫 이직이었기 때문에(삼성전자가 첫 직장) 적응을 위한 전략이고 뭐고 없었다. 모든 걸 맨땅에…
스타트업의 첫 Product manager가 해야 할 일
최근에 이직을 위해 10개 이상 회사와 연락을 주고 받았고 그 중 몇 군데와는 실제 내 매니저가 될 사람(보통 hiring manager)을 포함한 다른 Product manager(PM)들과 여러 차례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결과를 떠나 3~4년만에 하는 인터뷰는 스트레스이기도 했지만 지루했던 일상에 refresh가 되는 요소이기도 했다. 모든 회사는 다른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회사와 인터뷰를 한다는…
Product manager와 Product owner (3편)
* 이 글은 ‘Product owner, Product manager’의 세 번째 글로 아래의 두 글을 먼저 읽는 게 좋습니다. Product owner? Product manager? Product manager와 Product owner (2) 위 두 글을 짧게 요약하자면, 첫번째 글에서는 PO(Product Owner)와 PM(Product Manager)이 거의 동일한 일을 한다고 주장했으나, 두번째 글에서는 Tomtom과 같은 회사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PM과 PO이 서로 다른…
Change aversion : “내가 맨날 쓰는 거 그냥 좀 놔둬!”
사람은 대개 변화를 두려워하죠. 익숙한 것을 좋아하고 편안해하구요. 어느날 아침 출근하니 매일 사용하던 업무용 툴의 디자인이 하루 아침에 확 바뀌어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와 엄청 예뻐졌네. 엄청 사용하기 편해졌겠어!”라는 생각보다는 “아 이제서야 좀 익숙해졌는데 또 바뀌었어? 아 그 XX메뉴는 어딨는거야? 바빠죽겠는데 하나씩 다 눌러봐야 하나?”와 같은 반응일 거에요. 얼마 전에 저도 업무 중에 같은 경험을…
RICE – 일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
퍼블리 뉴스에 큐레이션해서 올린 글입니다. 원문 : RICE, simple prioritization for product managers <RICE – Simple prioritization for PMs> Product Manager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바로 어떤 프로젝트나 태스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일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게 쉬운 일은 아니죠. 같은 프로젝트라도 상황에 따라(예, 코로나 전/후), 회사의 전략 방향에 따라, 조직의 목표에 따라, 주요 고객이 누구냐에…
Product manager에서 Product leader로 성장하기 위한 길 (Publy News 큐레이션 글)
지난 6월 중순부터 Publy News 라는 서비스에 주 2~3회 씩 짧은 기사를 큐레이션해서 올리기 시작했다. Google Play에서 퍼블리 뉴스를 검색 후 다운받으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앱으로 각 분야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각자 관심분야의 글을 큐레이션하여 올려줍니다. 제가 올리는 글/기사 중에서도 제 블로그의 성격과 맞다고 생각하는 글들을 이곳에도 올리려고 합니다. 원문 : Crossing the Canyon: Product…
Product manager와 Product owner (2편)
내 블로그의 첫 글 <그래서 Product owner는 뭐하는 사람이에요?>이 브런치에서만 조회수가 6천이 넘었다. 그리고 <Product owner? Product manager?>라는 글도 꾸준히 읽히고 있다. 한국에서 Product owne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긴 한가보다. <Product owner? Product manager?>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Product manager(이하 PM)과 Product owner(이하 PO)는 하는 일이 기본적으로 같다는 것이다. 하지만 어느 날 독자 분이 브런치 댓글을 아래와 같이…
Loading…
Something went wrong. Please refresh the page and/or try again.